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에는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인 "지구온난화"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지금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 문제로 인해 엄청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의 말의 의하면 지구 평균온도가 6도 이상 올라가면 지구의 90% 의 생물종이 멸종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날이 갈수록 지구온난화의 문제들이 심각해지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지구온난화의 원인 및 결과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지구온난화의 원인
1. 화력발전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
전문가들의 말에 의하면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지구 평균온도가 약 1도 정도 상승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대기 중의 이상화탄소 양 역시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화력발전을 하면서 석탄을 태우는 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이런 이산화탄소의 특성이 열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에 직접적인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내연기관 자동차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
우리나라의 국민 2.3명당 자동차 1대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꾸준히 자동차의 대수가 늘어나고 있고 내연기관차 역시 석유가 들어가서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소의 메탄가스 배출
육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축산업 또한 같이 발전해서 소들의 개채수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소들이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배출하는 트림 또는 방귀에 메탄가스가 들어있는데 이런 메탄가스들은 이산화탄소보다 몇 배는 더 심각한 온실효과를 발생시킵니다.
4. 산림파괴
많은 지역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숲이 없어지고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하던 나무들이 없어지게 되면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양이 더 많이 쌓이고 있습니다.
5. 쓰레기 처리로 인한 이산화탄소 증가
일회용품 등 쓰레기들의 증가로 인해 쓰레기들을 소각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지구온난화 피해 결과
1. 기후변화 문제
지구의 평균 온도가 상승하면서 가뭄, 태풍, 홍수, 해수면의 상승 등 엄청난 기후위기가 닥칠 것입니다.
▷ 1도 상승
- 산호의 70% 가 죽음
- 태평양 섬나라 난민 발생
- 태풍 강화
▷ 2도 상승
- 마실물 부족, 수자원 부족
- 지중해 국가의 사막화
- 60센티 해수면 상승, 저해발도 지역 난민 발생
- 식량생산 어려움
- 생물종 1/3 멸종
▷ 3도 상승
- 아마존이 사라짐
- 적도 국가 지속적 산불
▷ 4도 상승
- 호주 농업 불가
- 전 지구적 식량, 자원 부족
▷ 5도 상승
- 북, 남극 농업 어려움
▷ 6도 상승
- 90% 생물종 멸종
2. 해양 산성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하면서 바닷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해양의 산성화가 진행됩니다.
해양의 산성화가 진행됨에 따라 바닷물의 ph 농도가 낮아지면서 산호, 전복, 조개 등 어패류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바다에는 식물성 플랑크톤들이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하는데 산성화가 되면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개체수가 줄어 더 이상 광합성을 못하게 됩니다.
3. 질병
북극의 영구동토층이 녹게 되면서 현대인들이 알지 못하는 고대 미지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들이 나오게 됩니다.
또 지구 평균온도가 상승하면서 박쥐의 서식 분포가 넓어지게 되고 바이러스의 전염 확률이 상승하게 됩니다.
※ 지구 온난화 해결 방안
1. 에너지 전환을 통한 탄소 중립 달성
100% 재생에너지로 대체해서 탄소 배출을 완전히 없애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내연기관차 역시
없애 전기차나 수소차 같은 친환경 자동차로 대체해야 됩니다.
2. 산림보호
산림보호를 통해 많은 나무들이 광합성을 하게 만들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할 수 있게 만들어야 됩니다.
3. 육류 소비 줄이기
육류 소비를 줄여 소들의 개체수를 줄이고 메탄가스의 배출량을 줄여야 됩니다.
4. 해양환경보호
해양 환경을 보호해서 바다의 식물성 플랑크톤들이 광합성을 하게 만들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할 수 있게 만들어야 됩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숭이 두창이란 무엇인가? (0) | 2022.06.02 |
---|---|
"수소연료전지"의 미래 (0) | 2022.03.20 |
댓글